제주경제와 관광포럼을 코로나덕에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듣을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이전이였다면 새벽일찍이 부터 챙겨 강의를 듣고 끝나자마자 부리나케 사무실로 출근했어야 했는데..
시기에 맞는 강의와 유명강사진의 강의를 이렇게 쉽게 들을 수 있으니... 정말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부쩍 가깝게 느껴진다.
오늘 강의는 '김상윤 중앙대학교 교수님'이 현실과 가상의 결합 메타버스에 대해서 진행됐다.
주요 저서로는 "미래시나리오 2022, 미래시나리오2021"이 있다.
01.현실세계와 가상세계 결합한 영화
- 아바타, 레디 플레이어 원
02.메타버스
- 상상력 vs. 현실
플렉스 문화 / 아이템으로 구매 / 아바타
03.메타버스(Metaverse)란?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가 점점 희미해지며, 가상세계에서도 실질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현상
04.메타버스의 4대 영역
04-1.증강현실(Augme : 씨쓰루
현실세계의 물리적 대상에 디지털 데이터를 겹쳡서 보여줌(예. 포켓몬고)
04-2.라이프로깅(Lifelogging) : 사람이 경험하는 일상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 저장, 묘사(예.인스타그램)
데이터로 축적시키는 방식
04-3.거울세계(Mirro Words) : 현실세계를 정확히 매핑하여 디지털에서 제공(예.구글어스)
04-4.가상현실(Virtual Worlds): 실제처럼 느끼게 한 온라인 디지털 가상 세계 (예. 세컨드 라이프)
05.적용사례
06.부작용
1. 가상의 질서와 현실의 질서 충돌
- 게임중독
- 구글 글라스
72% 정보 습득해서 좋긴한데 내 정보 노출도 걱정이다
90% 눈이 너무 피곤하다.
-> 산업용 용도 변경
-> 애플 글라스의 도전
2.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의 충돌
- 리셋증후군
3. 데이터 보유자와 데이터 미보유자
- 데이터 경제를 주도하는 기업이, 글로벌 사업을 주도한다.
-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
07.메타버스 시대
제주의 새로운 기회는?
1 Carbon-free 정책에 디지털 트윈기술 적용 (스코틀랜드 친환겨솔르션 기업 IES. 영국 노팅엄 지역 카본프리 디지털 트윈 구현)
2 디지털 방역, 제주안심코드의 경쟁력? - 누적데이터를 사용할 방법활용..?
3 제주도민은 데이터 과학자가 될 수 있을까?
→(범용적 : 시민 데이터 과학자=데이터에 대한 이해도, 활용도를 높여, 개인의 의사결정이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인사이트 활용하는 시민)
☆기존 실물경제를 받치는 제조업 주식과 데이터보유하여 글로벌시장 선도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조금씩 사둬야 겠다.
로블록스, 카카오, 네이버.. 매달 한주씩 꼭 사기!!
☆라이프로깅을 통해 내 경험을 데이터 시켜두자. -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페이지의 수첩 >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제19회 제주포럼 재주경제활성화 포럼 (0) | 2024.05.31 |
---|---|
협력의 진화, 전중환 교수님 특강 (0) | 2019.12.26 |
[특강] 전유성의 고정관념 깨는 방법 #웃음 (0) | 2018.12.20 |
[교양]세계 기후변화와 한국 탈원전에 대한 생각 1 (0) | 2018.05.21 |
모토로라의 이리듐 프로젝트, 멋지게 망한 프로젝트 (0) | 2018.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