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에 '데지카'라고 검색해보자.
그러면 스팀월렛.데지카 사이트가 나온다.
굳이 여러사이트 거쳐서 들어갈 필요가 없다.
▼ 네이버에서 검색한 사이트 링크이다.
Steam 지갑 충전
1원 단위로 Steam 지갑을 충전할 수 있습니다.
steamwallet.degica.com
스팀 웹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하면 바로 충전*화면이 뜬다.
더모아카드를 가지고 있는 나는 5,999원으로 페이코(더모아)결제를 했다.
우회 결제 할때 자주 찾는 형제의 나라 터키,
내가 가진 vpn은 아르헨티나 밖에 없어서 아르헨티나가 내 두번째 고향쯤 될 듯하다.
5,999 * 2번 = 12천원쯤 결제 했다.
원화 : 12천원 -> ARS(아르헨티나 통화) : 1262.76 로 자동 환산된다.
(더모아 결제시 999원은 신용카드 포인트로 적립되기 때문에 실제 1만원으로 1262ARS페소를 결제한 꼴이다.)
아르헨티나 환율 검색해서 사이트 조회해보니 정확하게 딱 맞는 금액이다.
국가별 게임가격 비교
이제 우리는 국가별 게임가격 비교를 해봐야한다. 정말 한국통화가 아니라 아르헨티나 통화게임이 저렴한 것인가!!
steamdb.info
위의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국가별 판매가격이 다른걸 알 수 있다.
(크롬 웹 확장프로그램에도 스팀가격 비교가 있다.
DOME KEEPER 게임 가격 비교를 해봤다.
아르헨티나 페소 : ARS 299 ( 2800원)
한국 원화 : 18,000원 이다.
아르헨티나 페소의 가치가 원하보다 더 많이 떨어져서 이기도 하고,
구매수준, 인터넷망 사용 등 다양한 이유에서 더 저렴하게 측정되어 있기도 해서 그 차이가 매우 크다.
역시 형제의 국가 터키 리라 또한 원하보다 74%이상 더 저렴하게 측정되어있다.
물론 한국보다 더 비싸게 측정된 국가또한 많다. 홍콩, 일본 등은 상대적으로 비슷하고 미국, 유로는 30~40%정도 더 비싸다.
스팀의 게임은 국가별로 가격을 다르게 판매한다.(스팀 정책)이기 때문에 위의 방법 또는 타국가 게임 우회 결제 등의 방법이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다만 위의 방식은 다양한 결제방법이 필요한 국가들을 위해 없어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계정 정지 등의 사례는 빈번해지고 있기 때문에 계정이 정지당하더라도 구제될 방법은 없을 것 같다.
그것조차 감안하고 게임 및 충전을 하자..
즐겜!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웹툰 이용자보상 캐쉬6천원. (0) | 2022.10.28 |
---|---|
소니 카메라, 컴퓨터 연결없이 휴대폰으로 사진을 바로 옮겨보자. (0) | 2020.05.27 |
[한국인의 독서량] 평균 7.3권, OECD평균 (0) | 2019.12.27 |
2019 프랑스 바칼로레아 문제 (0) | 2019.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