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 1대 : 태조 이성계]
한양 천도,
정치 : 정도전(재상중심),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불씨잡변
문화 : 정도전(고려국사: 고려사정리/ 조선 건국 정당성 강조)
경제 : 과전법(경기지역 한정)
외교 : 정도전(요동정벌)
[2대 : 정종]
개경천도,
2차 왕자의 난에서 태종에게 양위
[3대 : 태종 이방원] / 살벌
한양 천도,
정치 : 6조 직계제, 문하부 낭사 분리(사간원 독립, 언론기관), 사병혁파, 신문고 설치
경제 : 양전사업, 호패법, 노비해방
문화 : 혼일강리역대국지도(현존 동양 최고 지도)
외교 : 명/사대주의,
기술 : 주자소 설치(계미자)
[4대 : 세종]
정치 : 의정부 서사제, 집헌전 설치(강연, 유학연구),
외교 : 여진/4군 6진(최윤덕, 김종서), 사민, 토관, 북평관, 무역소//, 일본/쓰시마정벌, 3포개항(계해약조)
문화 :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농사직설, 한양집 성방, 삼강행실도, 팔도도(전국 지도), 신찬필도지리지(지리)
경제 : 전분 6등급(비옥도), 연분9등급(풍흉)
기술 : 주자소 설치(갑인자), 조지서 설치(종이 생산), 혼의, 자격루, 양부일구, 천문도, 칠정산, 신기전개발,
세종(박연/악기), 여민락작곡
[5대 : 문종]
고려사(김종서, 정인지/ 기전체)
고려사절요(김종서, 편전체)
(세종 며느리를 몇번 바꾼거얌..)
[6대 : 단종]
어렸음.
정치 : 황보인, 김종서의 섭정 → 계유정난 발생!
[7대 : 세조] (=수양대군=문종의 동생). 계유정난으로 왕권 차지, 단종 죽음, 훈구파 힘 up
정치 : 6조 직계제 , 경국대전 시작, 집현전과 경연 x , 유향소폐지(이시애의 난)
경제 : 직전법(현직 관리에게만)
사육신, 생육신 - 단종 복위 운동
[8대 : 예종]
삼포에서 일본 무역금지
[9대 : 성종]
정치 : 홍문관(집현전 계승, 옥당), 경국대전 완성, 유향소 부활, 사림 등용
경제 : 관수관급제(관청에서 수조대행)
문화 : 동국여지승람(지리), 동국통감(역사서/편년체/고조선~고려), 국조오례의악햑웨범, 금양집록(농서)
연산군
성종의 첫째 아들
무오사화 : 김종직의 조의 제문, 김일손 사초(실록)
갑자사화 : 폐비윤씨 시사사건
흥청망청
후궁 장옥수
중종(중종반정, 훈구파 up)
조광조 개혁(위훈삭제, 소격서 폐지, 현량과) → 기묘사화로 제거당함
백운동 서원 설립
향악(조광조 여씨 향악)
외교 : 삼포왜란 ! (일본군 처들어 옴) → 비변사 임시 설치
인종
명종
문정왕후 섭정
을사사화 : 외척 대윤, 소윤 싸움
을묘왜변 → 비변사 상설기구화
임꺽정(방납의 폐단)
경제 : 직전법 폐지, 녹봉 지급
선조 : 임진왜란
왜군 침입, 선조 한성버리고 의주피난해서 명에 원군을 요청 함. → 백성 화나서 경복궁 불태워 버림
전쟁 : 일본/임진왜란(1592) : 한산도대첩, 행주대첩, 진주대첩
의병장 : 곽재우, 장인홍(경상도)/ 유정(사명대사, 금강산)/ 휴정(서산대사, 묘향산)/ 조헌, 영규(충청도), 정문부(함경도), 고경명, 김천일(전라도)
→ 정유재란(1597) : 휴전 결렬, 재침, 명량대첩
군사 : 중앙/훈련도감(오군영, 류성용), 지방/속오군, 무기개량(화포, 조총)
조선후기
광해군(북인)
정치 : 영창대군 살해, 인목대비 페위 → 인조반정(서인)
외교 : 명/청 중립외교 / 강홍립 명나라 부대 / 일본과 기유약조(무역 )
경제 : 대동법시행(경기)
문화 : 허균 홍길동전 , 허준 동의보감
인조
정치 :
외교 :1. 친명배금 외교 → 후금 짐략(정묘호란) → 남한산성 향전(강화도 가는 길 막아버려서) → 형제관계
2. 청의 군신과계 요구 → 주화론 vs. 주신론 → 주신론 승리 → 후금과 화의 → 청에 굴복(삼전도)
정치 : 북벌론 제기(청을 징벌하자),
경제 : 영정법
효종
- 북벌론(송시열, 송준길, 이완/ 서인) + 군대양성 + 성곽수리
- 나선정벌(러시아)
- 북학파
현종
- 예송논쟁(자의대비 상복)
1차 : 서인승리
2차 : 남인승리
숙종 :
인현왕후(서인)
장희빈(남인)
정치 : 환국
1. 경신환국 : 복선군 추대 / 남인 실각 / 서인등용
2. 기사환국 : 송시열(서인) 파직, 장희빈 소생 원자(남인)
3. 갑술환국 : 서인 재집권, 남인 몰락
외교 : 백두산 정계비 건립(1712) : 영토경계선
군대 : 금위영(오군영)
경제 : 대동법 확대(전국), 상평통보
문화 :
경종 : 장희빈 아들
- 어사 박문수
- 몸이 약했다고 함?
영조
-정치 : 탕평정책, 산림 존재 부정, 서원 정리, 이조전랑 축소
이인좌의 난(소론, 남인이 경종 죽음 → 영조, 노론)
탕평책
신문고 부활
- 개혁 : , 가혹형벌 폐지, 사형수 삼신제시행, 속대전(법전), 신문고 부활
- 사도세자 죽음
- 가체 금지, 금주령, 구황작물(일본), 노비 종모법
-문화 : 동국 대지도(100리 척/정상기)
- 경제 : 균역법(군포 부담 경감/
-
정조
- 정치 : 척신, 환관 제거, 소론/남인 중용, 시시비비, 초계문진제도 실시, 규장각(왕립문서고) 육성
- 장용영 설치, 수원 화성,
- 기술 : 정약용 거중기
- 법전 : 대전통편
- 경제 : 신해통공(금난정권 폐지)
- 종교 : 신해박해(천주고 박해)
- 박제가(북학의, 소비론), 박지원(열하일기, 수레선박화폐 필요성, 허생전), 김흥도, 신윤복(풍속화)
- 중농학파(정약용 :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포/ 이익(성호사설, 성호문집)
순조 (수령청점 , 안동김씨 세도정치)
- 신유박해
- 벽파 정권 장악
- 사파 숙청
- 정약용 목민심서
- 공노비 해방
- 홍경래의 난(평안도 차별)
- 장용영 혁파(정조의 군대)
헌종
: 김대건 천주교 사제 처형
철종 :
- 동학 창시(최제우, 인내천, 시천주)
- 문학 : 대동여지도(김정호)
진주민란 → 임술농민봉기(박규수 안핵사) → 삼정이정청 설치(삼정 개혁)
고종
순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