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목표/매일매일 세리시이오

세리시이오 강의 보기 #1 20240620_인플레이션이 위험이 될 때

우와우앙 2024. 6. 20.
728x90
반응형

고금리로 시장 유동성감소, 자금조달 난향인데 왜 인플레이션을 막으려고 하는걸까? 

 

인플레이션은 

1) 통화량 확대

2)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3) 비요인상 인플레이션

4) 환율 문제로 생길 수도 있음.

 

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계속 유지하려고 할까? 

- 예측가능한 낮은수준의 물가상승은 소비와 투자 촉진 함.

 

언제 위험이 될 것인가

 - 하이퍼 인플레이션 : 물가상승률 50% 넘는 경우 

 - 정부 대량통화발행( 독일 마르크화 대량발행,  베네수엘라 등)

 

한국의 인플레이션 위험해질 수 있을까?

 - 74년 석유파동 24.3%

 - 98년 외환위기 7.5%

 - 99년 ~ 21년 2.3%의 낮은 인플레이션 유지

 - 코로나 팬더믹 2022. 5.1% 높은 인플레이션*

 

1. 고금리 정책에도 인플레이션 걱정해야하는 이유는 원자재가격 불확실성, 달러강세 등으로 물가목표 2%달성 난항

 24.5월 2.9%

 

2. 기업의 자금조달 난항 /

예측불가능하거나 지나치게 높은 인플레이션은 저축유인 제거

 

물가상승, 화폐가치 하락이 오래 지속될 수록 문제가 생김.

 

3. 공급망리스크

 - 지정학적 리스크, 환율 등 공급망 내 경제 불안이 인플레이션 강화할 가능성 있음 .

 - 날로 정교해지는 공급망은 글로벌 경제상황이 안정적일 때 비용절감, 이익극대화를 위한 최적화를 가능하게 해줌.

 - 그러나 공급망이 정교화된 만큼 공급망내 일부국가, 지역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시 즉각 원자재가 상승 우려 있음.

 

기업의 전략? 

기업은 지나치게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수적 접근을 통해 단기적인 유동성 부족에 대비해야함.

높은 인플레이션은 임금, 원가상승 위험에 노출. 기업이 소비자에게 더 높은 가격을 부과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이탈을 막기 위해 더 고도화된 마케팅 전략 고민 해야함.

 

공급망 전체의 인플레이션 상황을 보다 면밀히 살피고 공급망 다양화도 필요함.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