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협업, 조직의 플랫폼화
성장마인드화&
마소는 사업부간 사일로 + 비대한 관료주의로 유명한 회사 였음
<마인드셋>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과 배움이 필요하다
Know it all -> lean it all 지속적으로 학습하려는 인재가 많고 이런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개개인의 학습과 역량을 조직내외부 타인과 공유
소통과 교류가 학습과협업이라고 봄.
<플랫폼>
1. 사업화
2. 조직
3. 리더십
개방형 플랫폼임.
리더의 플랫폼 역량이 중요
리더가 조직을 기능적으로 보는 경향이 큼.
정말 해결해야할 문제, 새롭게 달성해야할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조직을 바라봐야 함.
<프로젝트성 조직필요> 조직을 프로젝트가 일어나는 장으로 봄.
<skill hub>
현재와 미래 사업에 필요한 전문성을 구분하고
목표와 이슈에 따라 유연하게 조직화하는 것이 필요함.
아자일 조직이 이에 해당함.
ai, data 전문가 영입하고 있음 > 효과적 기업은 . ai전문가를 내부의 필요조직 생길때마다 배치하여 ai활용 적용분야 넓히게 해야함.
ai 전무가가 자기주도성 강화가 필요 = 플랫폼
인재의 전문성 = 플랫폼 형태로 구조화 - 커리어마켓
기능, 기술, 산업의 축을 구분하여 356 전문성 경로 구분
- 조직 내 과업은 356가지 유형 중 무엇을 요구하는지
- 조직내 인재는 356가지 전문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필요한 일을 내부에서 빠르게 찾고 없다면 신속하게 외부에서 확보
구성원도 본인의 전문성으로 어떤 당양한 일을 할 수 있는지, 원하는 일과 기회에 본인이 적합한지, 부족한지 어떤 점을 보완해야하는지를 알고 개발시켜 나갈 수 있음.
> 인사이드 아웃어프로치(
빅블러의 시대!!
'하루목표 > 매일매일 세리시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626, 비금전적 보상 '정서적 급여' 높여볼까? (0) | 2024.06.26 |
---|---|
20240625, 우리는 공진화 시대에 살고 있다. (0) | 2024.06.25 |
20240624, 유럽이 쌀을 선택했다면 흑사병은 없었을까? (0) | 2024.06.24 |
세리시이오 강의 보기 #4 20240623_위협인가 기회인가, 인재 확보 전쟁 (0) | 2024.06.23 |
세리시이오 강의 보기 #2 20240621_시끄러운 퇴사에 주목해야하는 이유 (0) | 2024.06.21 |
세리시이오 강의 보기 #1 20240620_인플레이션이 위험이 될 때 (0) | 2024.06.20 |
댓글